리눅스에서 파일을 이동하거나 복사 또는 특정 파일(Confing)에서 경로를 설정 시에 경로명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은 이런 경로명을 지정하는 대표적인 2가지 상대경로와 절대경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예시] Directory 구조
우선 아래와 같은 디렉터리 구조를 가진 리눅스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합시다. 이제 우리는 floder2에서 floder1으로 이동을 하는 방법을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를 사용하여 보여주겠습니다.
절대 경로
리눅스의 디렉터리는 계층적 트리구조입니다.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 있는 최상위 디렉터리는 /입니다. 최상단 디렉터리부터 찾으려는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이르는 경로를 절대 경로라고 합니다.
- pwd를 통해 해당 파일이나 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folder2에서 folder1으로 가는 절대 경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상대 경로
현재 자신이 위치한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하는 경로를 상대 경로라고 합니다.
- ./ : 현재 디렉토리
- ../ : 상위 디렉토리
folder2에서 folder1으로 가는 상대 경로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렇게 리눅스에서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도 리눅스를 접한다면 사용할 일이 많기 때문에 개념을 확실히 익혀두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