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재 HMM 매각 현황
현재 HMM의 지분 구조는 산업은행(20.69%), 한국해양진흥공사(19.96%) 합해서 40.65%로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글로벌 침체로 인해 해운 사업이 불황일 때 정부에 의해 인수당하고 최근 계속적으로 흑자를 내면서 작년 초에 핫이슈로 떠올랐던 기업입니다.
조승환 해양수산부 장관은 11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HMM 민영화를 위한 정부 지분 매각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간다고 하였습니다. 민간이 자유롭게 운영하여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만큼 공공 기관이 해당 사업을 계속 가져갈 수 없다는 판단에서 매각을 추진하기로 하였다고 합니다.
HMM이 리스크 중 하나가 정부 지분도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한다면 주가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앞으로 매각이 된다는 것은 사실화되었지만 언제 누가 인수를 하는지는 불명확하고 그저 가능성이 있는 기업들을 올라오고 있습니다.
인수 가능성이 있는 기업
1. 현대글로비스
2016년에 정부에서 현대글로비스에게 HMM 인수를 제안했었다는 사실이 있고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인수 시 그 시너지 효과는 배로 기대됩니다. 현재 현대글로비스는 컨테이너 정기선 사업부문이 없어서 인수 시 글로벌 종합물류기업을 추구하는 기업으로서 더 의미를 가질 것 같습니다.
2. 포스코홀딩스
포스코는 예전 해운물류 자회사 설립을 추진하다 기존 물류업체들의 반발로 인해 무산될 수 있습니다. 현재 포스코는 자금력이 좋고 이를 바탕으로 M&A를 할 기업을 물색 중에 있습니다. HMM을 인수한다면 기존의 철강 사업, 식량 사업 등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 같지만 예전에도 그랬듯이 기존 물류업체들의 반발로 인해 무산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3. CJ 대한통운
CJ 그룹도 글로벌 물류 회사를 지향하고 있고 해외 M&A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기존 사업과도 시너지도 있어서 인수 가능성이 있는 기업 중 하나로 올라오고 있습니다.
투자할 시 주의할 점
HMM은 현재 국내 최대 컨테이너 사이고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2조 8천371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111%로 증가한 좋은 기업이지만 현재 해운 산업이 업황이 그리 좋지 않습니다. SCFI나 BDI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해당 지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아시고 싶으신 분은 아래 글을 참조해주세요.) 또한 현재 국제 인플레이션 사태 등의 여러 악재 속에 하반기에는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매각 또한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아직은 불확실합니다. 어느 정도 윤곽이 잡히고 관심을 가져도 좋을 것 같습니다.
2022.08.13 - [주식] - [산업 분석 1편] 해운주 특징과 관련주
[산업 분석 1편] 해운주 특징과 관련주
목차 해운주란? 해운주란 해운업을 하는 회사들의 주식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해운업이란? 해상화물운송업, 해상여객운송사업, 선박 대여, 선박관리 등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 즉, 여객선 또는
rich-hm.tistory.com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