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증자란?
기업이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의미
증자의 한 예로 공모주 청약을 통해 신규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이 있습니다. 공모주 청약은 유상증자에 해당하고 각 기업의 공시를 통해 무상증자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차이는 아래에서 확인해보겠습니다.
유상증자 vs 무상증자
유상증자는 말 그대로 주식을 돈을 받고 파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우리가 보아야 할 것은 증자규모와 할인율입니다. 할인율은 낮은데 비해 증자 규모가 큰 경우에는 증자 후 물량 부담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할 수 도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증시가 상승세에 있다면 흐름을 타 주가가 상승할 수도 있습니다. 기업의 앞으로의 전망이 좋거나 증권시장 전망이 좋다고 하면 청약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상증자는 공짜로 주식을 나누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업 내부에 쌓아 두었던 유보금을 사용해서 그 금액만큼 주식을 발행한 뒤 주주들에게 공짜로 나누어 줍니다. 기업의 전체 가치에서는 큰 변화는 없지만 기업의 1주당 가치는 감소합니다.
보았을 때 1주당 가치가 감속하기 때문에 그만큼 가치가 떨어질 것 같지만 실제로는 덜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갑자기 주가가 큰 폭으로 떨어지면서 투자자들이 무상증자를 잊고 저가 매수라는 착시 현상으로 인해 매수세가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호재도 악재도 아닌 셈이 됩니다. 보통은 기업이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무상증자를 실시합니다.
정리
증자는 기본적으로 주식을 추가로 발행해 기업의 자본금을 늘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유상증자 : 투자자에게 주식을 돈을 받고 파는 것 (유료)
- 증자규모, 할인율, 증시 상황에 따라서 호재가 될 수도 있고 악재가 될 수도 있다.
무상증자 : 공짜로 주식을 나누어주는 것을 의미 (무료)
- 장기적으로는 호재나 악재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