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급 물량 파악을 위한 멸실 물량 확인하는 방법 - 마티의 지식저장소
부동산 / / 2023. 3. 8. 12:45

아파트 공급 물량 파악을 위한 멸실 물량 확인하는 방법

 

아파트의 정확한 공급 물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공급되는 물량뿐만 아니라 멸실되는 물량도 같이 확인을 해야 합니다. 보수적으로 40년 이상된 아파트들을 재건축 시에 해당 가구 수만큼 멸실이 되기 때문에 이 또한 아파트 공급 물량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공급 물량이 100만 호인데 멸실 물량이 80 만호라면 결국 실질적인 공급 물량은 20만 호가됩니다.

 

※ 멸실 주택 : 건축법상 주택의 용도에 해당하는 건축물이 철거 또는 멸실되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게 된 경우로서 건축물대장 말소가 이루어진 주택

 

오늘은 이러한 멸실 물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멸실 물량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는데 국토교통부와 KOSIS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한 방법을 확인하겠습니다.

 

목차

     

    멸실 물량 확인하는 방법

    멸실 주택 물량의 발표는 1년에 한 번, 연말에 전년도 멸실 물량을 발표합니다. 예를 들면, 올해 2023년 12월 말에는 2022년 멸실 물량에 대해 발표를 합니다. 실시간으로 멸실 물량을 파악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최근 멸실 물량에 대한 내용들은 추정치로 발표를 합니다.

     

    국토교통부나 KOSIS나 내용은 같기 때문에 원하는 곳으로 들어가 확인하시면 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멸실 물량 확인하는 방법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사이트에서 멸실 물량이 확인가능합니다.

     

     

    메인 홈에서 주택을 선택해 줍니다.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주택보급률 > 주택멸실현황을 선택해 줍니다. 

     

    기간을 선택해서 보실 수 있고 멸실 현황을 차트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단으로 내리면 표로 구체적인 수치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KOSIS에서 멸실 물량 확인하는 방법

    KOSIS에서도 멸실 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메인 홈에서 국내 통계를 선택합니다.

     

    이후 주제별 통계에서 주거를 선택해 줍니다.

     

    하단으로 스크롤하여 주택보급률을 선택 후, 주택멸실현황을 선택해 줍니다.

     

    보시면 연도별, 지역별로 멸실현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