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용어] 건폐율과 용적률 의미와 확인하는 방법 - 마티의 지식저장소
부동산 / / 2022. 7. 20. 15:57

[부동산 용어] 건폐율과 용적률 의미와 확인하는 방법

목차

     

    아파트를 임장가다보면 층이 높은 아파트들도 있고 단지들이 빽빽하게 밀집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막상 인터넷에 찾아보고 마음에 들어서 직접 임장을 갔는데 생각보다 건물 사이가 빈틈이 없어서 마음에 안들 수도 있습니다. 이를 어느 정도 알아보고 갈 수 있는 용어인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건폐율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

    즉, 대지면적에 건물을 지을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쉽게 말하면 수평, 건물의 넓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건폐율이 높다는 것은 지을 수 있는 건물의 비율이 넓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건물을 짓는 용도에 따라 지을 수 있는 건폐율이 달라집니다.

     

    건폐율이 높으면 동일한 면적에 많은 건물을 지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용할 수 있는 원인이 많아지지만 일조권과 조망권 확보에 불리하고 화재시에 큰 인명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큽니다.

     

    건폐율이 낮으면 보통 나머지 공간에 놀이터 및 부대 시설로 활용하여 입주민 입장에서 더욱 쾌적한 주거생활을 누릴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들은 건폐율이 약 20% 미만일 경우 쾌적하다고 인지한다고 합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건물 면적 / 대지면적 * 100 = 건폐율(%)

     

    용적률

    대지면적에 대한 연면적의 비율

    즉, 대지면적에 건물을 높일 수 있는 비율을 의미합니다. 조금 더 쉽게 설명하면 수직, 건물의 높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용적률이 높다는 것은 지을 수 있는 건물의 층수가 높음을 의미합니다. 

     

    용적률이 너무 높으면 일조, 조망, 채광 등에 좋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입주자 입장에서 쾌적한 주거 환경을 누리기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그만큼 건설사는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겁니다. 반대로 낮다고 하면 수익성이 안좋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서 프리미엄이 있는 고급 아파트를 건설할 겁니다.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면적 / 대지면적 * 100

    연면적은 쉽게 예를 들어 한 층에 면적이 50평이고 5층짜리 아파트이면 연면적은 50*5 = 250평이 됩니다.

     

    단, 여기서 용적률 산정용 계산은 조금 다릅니다. 실질적인 거주 공간에 대한 용적률을 따지기 때문에 지하층이나 필로티 주차장을 제외하고 계산을 하게 됩니다. 

     

    네이버 부동산에서 확인하는 방법

    일단 내가 확인하고 싶은 아파트나 주택을 검색합니다. 그리고 해당 아파트나 주택을 클릭하고 '단지 정보'를 클릭하면 아래의 빨간 박스안에 처럼 용적률과 건폐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 부동산 건폐율과 용적률 확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