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가치 투자를 지향하지만 그렇다고 기술적 분석이 필요 없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어느 정도 볼 줄 알아야 매수와 매도의 기준을 세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간단히 봉이 무엇이고 거래량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려고 합니다.
양봉과 음봉
- 양봉은 빨간색으로 나타내고 시초가보다 종가가 올랐을 때를 의미
- 음봉은 파란색으로 나타내고 시초가보다 종가가 낮을 때를 의미
고가, 저가, 시가, 종가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9시에 장이 열리고 주가가 시작한 시가
오후 3시 30분에 장이 마감한 후 나타나는 종가
장 중에 가장 높았던 고가
장 중에 가장 낮았던 저가
이러한 봉들이 모여서 흔히 우리가 보는 주식 차트를 구성하게 됩니다.
봉의 유형
양봉에서 망치형과 역망치형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망치형 : 상승 여력이 크다고 해석
- 역망치형 : 고가에서 매도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주가가 그날 최고가보다 하락한 지점에서 장이 마감된 경우를 의미, 상승 이후에 시세 차익을 노린 매물들이 나왔다고 해석
음봉에서 망치형과 역망치형은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 망치형 : 시가에 가격이 쭉 떨여졌다가 매수하는 사람이 늘며 주가가 올라간다고 해석
- 역망치형 : 초반에 주가가 상승했다가 매도가 많아지면서 떨어지는 형 ➜ "오른 김에 빨리 팔아버리자" 매물 등 강한 하락 추세로 해석
장중에서 고가를 찍고 종가가 시가와 같아지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매수와 매도가 아주 팽팽하게 경쟁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매수, 매도보다는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거래량
주식 시장에서 거래량은 말 그대로 주식이 거래된 양을 뜻합니다. 당일 매도와 매수 주문이 만나 체결된 거래 수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면 거래량은 '힘'으로 해석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기본적으로 거래량이 많은 주식은 그 주식에 사람들이 관심이 있구나라고 해석하면 됩니다.
거래량을 해석하는 방법은 상승과 하락 때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아래와 같이 해석을 할 수도 있습니다.
- 상승하던 주식의 거래량이 준다. ➜ 상승동력이 서서히 떨어진다는 의미입니다. 그만큼 사기에 매력적이지 않아 거래가 준다는 의미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 반대로 가격이 하락하는데 거래량이 준다. ➜ 하락세가 약해진다는 뜻이니 반등의 모멘텀이 올 수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거래량은 보통 차트의 하단에 나와있습니다. 색깔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란색 : 전일보다 거래량이 줄어듦
- 빨간색 : 전일보다 거래량이 늘어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