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는 작년 8월 1일에 "2022년도 건설업체 시공능력평가 결과"를 공시하였습니다. 75,673개의 건설업체가 참여하였습니다. (전체 건설업체의 88.8%)
매년 국토부에서는 비슷한 시기에 시공능력평가를 발표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현재 건설업체 중 능력이 있는 업체가 어디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재건축이나 분양 시, 해당 건설업체가 상위에 있다면 더 신뢰가 가겠죠?
이번 포스팅은 시공능력평가는 무엇이고 국토부 보도자료를 근거로 "2022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개 사"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목차
1. 시공능력평가란?
시공능력평가는 발주자가 적정한 건설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건설공사실적․경영상태․기술능력 및 신인도를 종합한 평가
국토부장관이 매년 건설업체의 시공실적, 경영상태, 기술능력, 신인도를 기초로 시공능력을 평가․공시합니다. 해당 업무는 대한건설협회 등 업종별 건설협회에 위탁ㆍ운영한다고 합니다.
1-1. 평가방법
평가액 = 실적평가액+경영평가액+기술능력평가액±신인도평가액
- 공사실적평가액 = 최근 3년간 연차별 가중평균 공사실적 × 70%
- 경영평가액 = 실질자본금 × 경영평점 × 80%
- 기술능력평가액 = 기술능력생산액 + (퇴직공제 납입금×10) + 최근 3년간 기술개발 투자액
- 신인도평가액 = 신기술지정, 협력관계 평가, 부도, 영업정지 등을 감안하여 가․감산
1-2. 시평제도 활용현황
- 유자격자명부제 : 시공능력에 따라 등급 구분[1등급(6,000억원 이상)∼7등급(81억원)]하여 공사규모에 따라 일정등급 이상으로 입찰참가자격 제한
- 도급하한제 : 중소 건설업체 보호를 위해 대기업인 건설업자(시평액 상위 3%이내, 토건 1,200억원 이상)는 시평금액의 1% 미만공사 수주 제한
- 입찰참가자 자격기준 : 추정가격 50억원 이상인 공사에서 입찰자의 시평액은 당해 업종의 추정금액을 초과해야 함
2. 2022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10대 건설사
삼성물산은 평가액 21조로 지난 2014년부터 9년째 1위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현대건설은 지난해와 똑같이 2위를 차지했으며 대림산업에서 건설사업부문을 분할해 별도로 설립한 DL이앤씨가 전년 8위에서 올해 3위로 크게 올랐습니다.. 포스코건설은 지난해와 동일한 4위를 기록했습니다. 순위 변동은 아래의 표를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순위 | 건설사명 | 평가액 | 순위 변동 |
1 | 삼성물산 | 21.9조 | - |
2 | 현대건설 | 12.6조 | - |
3 | DL이앤씨 | 9.9조 | ↑5 |
4 | 포스코건설 | 9.6조 | - |
5 | GS건설 | 9.5조 | ↓2 |
6 | 대우건설 | 9.2조 | ↓1 |
7 | 현대엔지니어링 | 9.1조 | ↓1 |
8 | 롯데건설 | 7.2조 | ↓1 |
9 | SK에코플랜트 | 5.3조 | ↑1 |
10 | HDC현대산업개발 | 4.9조 | ↓1 |
3. 2022년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개사 현황
(단위 : 억)
[많은 사람들이 관심있게 읽은 글]
2023.04.07 - [부동산] - 건축물 노후도 쉽게 확인하는 방법 (재개발, 재건축, 모아타운)
2022.06.14 - [부동산] - 금리 변동에 위험 부담이 없는 보금자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