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troduction
티스토리에서 애드센스를 붙이고 수익이 발생하면 그에 따른 세금이 발생한다. 구글은 미국 회사이기 때문에 미국 세금 정책에 따라 세금을 매긴다.
이때 세금 정보를 등록하지 않으면 미국에서 수익의 24%를 원천징수한 후 잔액을 지급하게 된다.
하지만 세금 정보를 등록했다면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만 30% 원천 징수를 한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세금 정보 등록 O :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만 30% 원천 징수
- 세금 정보 등록 X : 국가 관계없이 전체수익에서 24% 원천 징수
30%라고 하면 24%보다 많이 걷는 것처럼 보이지만 중요한 건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만 해당 세금을 매기는 것이다. 즉, 미국에서 내 블로그로 트래픽이 발생해서 수익이 나는 것에 대해서만 30%를 원천 징수하는 것이다.
그러니 등록을 안 한 것보다 실질적으로 훨씬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업자 등록을 하면 더 낮은 비율로 가능하다고 하지만 대부분 사업자가 없이 블로그를 운영하니 이 부분은 생략하겠다. (추후 정책에 따라 변경이 될 수도 있다.)
세금 정보는 최초에 한 번 등록하고 나면 이후에는 따로 공지를 하지 않는 한 다시 등록할 필요가 없다.
티스토리 같은 경우, 대부분 국내에서 트래픽이 발생하기 때문에 세금 정보를 등록을 하는 게 좋다.
애드센스에 세금 정보 등록하기
[1] 애드센스에 로그인 후 좌측 메뉴 [지급] - [결제 정보] 메뉴를 클릭해 준다.
[2] 그리고 설정에 [설정 관리]를 클릭한다.
[3] 결제 프로필의 미국 세금 정보의 [연필 버튼]을 클릭 후 [세금 정보 관리]를 클릭한다.
[4] 이후 세금 정보 추가 버튼을 눌러준다.
[5] 그리고 난 후 [개인] → [아니요] → [W-BBEN]을 선택한다.
[6] 이름을 [영문]으로 작성하고 [대한민국]을 선택한다. 주의해야 할 것은 영문은 결제 프로필에 있는 영어 이름과 동일해야 한다. 나의 경우 이미 한글로 등록해서 회색처리가 되어 변경을 할 수가 없었다. 이와 관련하여 뒤에 내용이 나오니 계속 확인하길 바란다. 만약 한글로 등록되어 있다면 여권이나 국제면허증에 적힌 영어 이름을 쓰자. (계좌 등록한 영어 이름과 같아야 한다.)
[7] 다음은 주소를 작성해 준다.
- 첫 번째 체크 박스는 체크하지 않고 마지막 체크 박스는 체크해 줍니다.
- 상세주소, 동, 호 등, 우편번호를 영어로 입력해 줍니다. (네이버나 다음 검색 창에 영문 주소라 검색하여 찾는다.)
[8] 조세조약은 [아니요]를 체크해 줍니다. (만약 미국 사업자 등록 및 거주라면 [예]를 체크한다.)
[9] 작성한 문서 확인 후 체크해 준다.
[10] 증명서에 본인 서명을 해준다.
이름 부분에 적혀 있는 이름을 칸에 적어주면 된다.
[11] 미국에서 수행할 활동 및 서비스 증명서
- 미국에서 수행한 활동 및 서비스 증명서에서 나는 미국 내에서 개인이나 법인 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아니요]를 선택했다.
- 상태 변경 진술서 같은 경우, 이전에 애드센스로 100$ 이상 수익을 내서 지급받은 적이 있다면 2번째를 선택해주시고 한 번도 받지 않았다면 1번째를 선택해 준다.
[12] 전자 문서로 세금 신고서 받기
[13] 만약 위의 [6]에서 결제 프로필 상 이름과 입력한 영문 이름이 다르다면 아래의 팝업이 나올 것이다.
나는 서류로 국제면허증을 제출했다. 나중에도 할 수 있지만 미리 해두는 게 편할 것이다.
그리고 난 후 다시 [미국 세금 정보] → [세금 정보 관리]로 가면 [검토 중]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몇 주 정도 걸린다고 한다. 이제 승인될 때까지 차분히 기다리면 된다.
이후 결과가 나오면 하단에 추가적으로 작성을 하겠다.
대략 6일이 지난 후 세금 정보가 승인되었다고 메일이 왔다.
에드센스의 결제 프로필로 들어가서 미국 세금 정보 관리를 들어가면 승인됨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
현재 티스토리를 운영하고 에드센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면 최소한 100$ 전에 미리 세금 정보를 등록하는 게 좋다. 시간이 그리 오래 걸리지 않으니 에드센스가 승인이 나고 바로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까먹고 있다가 추후에 24% 원천징수를 하고 난 잔액을 보면 미리 할 것이라는 후회가 남을지도 모른다. 내 돈은 내가 챙겨야 하는 법이다.
애드센스에서 지급 계좌를 등록하는 법을 모르겠다면 아래의 포스트를 참고하자
2023.01.05 - [블로그] - [애드센스] 수익금을 받기 위해 빠르게 계좌 등록하는 방법
[애드센스] 수익금을 받기 위해 빠르게 계좌 등록하는 방법
목차 Introduction 애드센스 승인 후 처음 100$가 되면 수익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 그전에 계좌를 등록해야 한다. 미리 계좌를 등록하지 않으면 지급 보류에 걸리기 때문에 애드센스 승인이 났다면
rich-h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