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판상형
판상형 아파트는 보통 ‘ㅡ’, ‘ㄱ’ 자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방과 거실이 옆으로 나열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초창기 아파트들이 대부분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3 베이, 4 베이 판상형 구조를 선호합니다.
1-1. 장점
- 긴 직사각형 모형으로 공간 효율이 매우 우수
- 통풍과 환기에 유리
- 상대적으로 넉넉한 베이 수로 인해 발코니 확장에도 용이
-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남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용이 (풍부한 일조량과 채광)
1-2. 단점
- 외관이 딱딱하고 경관이 좋지 못함 (단조로운 구조)
- 동 간의 거리가 짧아서 일조권이나 조망권 확보가 어려움
- 방들의 위치가 거실과 가까워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기 어려움
- 대형평수가 아니면 거실의 개방감이 적음
2. 타워형
아파트가 Y자 혹은 T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주상 복합 아파트는 대부분 타워형 구조를 사용합니다. 인근에 산이나 강, 바다가 있을 시 각 세대가 고루 조망권을 누릴 수 있게 설계가 가능합니다. 정남향보단 남서향이나 남동향이 많은 편입니다.
2-1. 장점
- 외관이 좀 더 세련됨
- 독특한 평면 구조 설계가 가능
- 거실의 위치가 방보다 멀어서 프라이버시가 판상형에 비해 잘 지켜짐
- 판상형에 비해 고층으로 지을 수 있음
2-2. 단점
- 통풍과 환기가 잘되지 않는다
- 전 세대 남향 배치 불가
- 강제환기시스템이 적용되는 경우 관리비 높아짐
- 판상형에 비해 건물 가격이 비쌈
복합형
판상형과 타워형의 장점을 추가하고 단점을 보완한 아파트 구조, 최근에 지어지는 많은 아파트 중 상당 수가 복합형으로 지어집니다. 보통 ‘L’ 자나 ‘V’ 자 형태로 건축됩니다.
장점으로는 세대 간 마주 보지 않게 배치하여 사생활 침해를 최소화합니다.
단점으로는 타워형과 마찬가지로 모든 가구에 남향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아파트 구조별 선호도
과거에는 세련된 외관의 선호도로 인해 타워형 구조가 인기를 끌었지만 최근에는 통풍과 동선 그리고 환기 등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실용적이고 현실적인 거주 편의성이 다시 중시되며 판상형 구조가 선호되고 있습니다.
아파트 청약에서 경쟁률을 보더라도 보통 A 타입은 판상형이고 B, C, D는 타워형을 나타냅니다.
위는 최근 올림픽파크 포레온 청약 경쟁률을 확인하면 A 타입이 경쟁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발코니 확장에 용이한 4 베이 판상형을 많이 원합니다. 하지만 해당 지역의 조망권이 좋다면 타워형이 더 많은 시세가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청약 시에는 높은 당첨 확률을 위해 모두가 선호하는 구조보다 차순위로 선호하는 아파트 구조에 청약을 넣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