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화량과 주식의 상관관계 - 마티의 지식저장소
주식/종합 / / 2022. 8. 23. 00:23

통화량과 주식의 상관관계

목차

    통화량이란?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
    • 본원 통화의 크기
    • 민간 부분에서의 현금통화의 비율
    • 금융기관의 지불준비율

    위의 3가지로 결정합니다.

    통화의 종류

    1️⃣  M1 : 협의 통화 (언제든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

    2️⃣  M2 : M1 + 유동성이 좋은 만기 2년 미만의 정기 예적금 및 시장형 금융 상품 등을 포함한 통화

    3️⃣  M3 : M2 + 비은행 금융 기관까지 포함한 가장 포괄적인 지표

     

    M1, M2는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과 예금의 잔고 합을 이야기하며 시중에 돈이 얼마나 풀려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주로 시장의 통화량을 판단할 때는 M2를 보고 판단합니다.

     

    아래는 M2 통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대한민국 - 통화공급량 M2 | 1970-2022 데이터 | 2023-2024 예상

    현재 값, 이력 데이터, 예측, 통계, 차트 및 경제 달력 - 대한민국 - 통화공급량 M2. 1970-2022 데이터 | 2023-2024 예상.

    ko.tradingeconomics.com

    통화량과 주식의 상관관계

    길게 보았을 때 인플레이션이랑 통화량은 비례하게 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대표적인 통화지표인 M2와 인플레이션 추이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됩니다. 특별한 이벤트가 없는 경우 두 증가율을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왔습니다. (예 : 석유파동)

    일반적으로 통화량이 증가할 때 유동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주식 시장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하지만 증가가 지속될 경우 유동성에 의해 이자율  하락되고 국민들의 소득이 향상이 되고, 소득의 향상은 화폐의 수요를 더욱 증가하고 이는  결국 금리를 상승시키게 됩니다. 이 때문에 FED나 중앙은행에서는 통화량을 조절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만 장기적으로는 금리를 상승시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들

     

    국내 주식 대주주 기준을 알아보자

    흔히 대주주라고 하면 주식을 많이 보유한 사람을 의미합니다. 반면에 소액의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소주주라고 불립니다. 이렇듯 주식 시장에서 주식을 보유한 정도에 따라 주주의 기준

    rich-hm.tistory.com

     

    경기민감주와 경기방어주 - 우리의 선택은?

    목차 경기민감주란? 경기에 영향을 더 많이 받아 주가 변동이 큰 기업들 기본적으로 경기가 좋아지면 수요가 늘어나는 산업군들이 이에 속합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수요가 늘어나고 이에 따라

    rich-hm.tistory.com